명상록 -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명상록 -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명상록은 고대 로마의 황제이자 철학자인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의 사색적 기록으로, 그의 개인적인 성찰과 철학적 사유가 담겨 있다. 이 책은 단순한 철학서가 아니라, 인간 존재의 의미와 삶의 본질에 대한 깊은 통찰을 제공하는 작품이다.
작가 소개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는 121년 로마에서 태어나 180년에 사망한 로마 제국의 황제로서, 스토아 철학의 대표적인 사상가로, 자신의 삶을 통해 철학을 실천한 인물로 알려져 있다. 아우렐리우스는 평생을 전쟁과 정치에 시달리며, 그 속에서 인간 존재의 의미와 삶의 목적을 고민하였고, 그 결과로 명상록이 탄생하였다. 이 책은 그가 자신의 생각을 정리하고, 스스로에게 보내는 편지 같은 형태로 구성되어 있어, 그가 삶의 의미를 찾기 위해 쓴 개인적인 일기와도 같다.
줄거리
'명상록'은 총 12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권은 아우렐리우스가 개인적인 경험과 사색을 바탕으로 쓴 글들로 이루어져 있다. 각 권은 서로 다른 주제를 다루고 있지만, 전체적으로는 인간 존재의 의미, 도덕적 삶, 그리고 자연과의 조화에 대한 깊은 통찰을 제공한다. 그는 주로 고독한 사색 속에서 자신을 돌아보며, 인간의 본성과 삶의 의미, 그리고 죽음에 대한 이해를 탐구하였다. 이 책은 그가 겪은 고난과 시련 속에서 찾은 지혜와 교훈을 담고 있으며, 특히 인간의 운명과 자연의 이치에 대한 깊은 성찰이 포함되어 있다.
아우렐리우스는 자신의 삶을 통해 스스로를 다스리고, 평정심을 유지하는 방법을 강조하였다. 그는 불행이나 고통 속에서도 자신의 감정을 제어하고 올바른 선택을 할 수 있는 힘을 기르는 것이 중요하다고 역설하였고, 이와 같은 그의 사상은 현대인들이 겪는 스트레스와 불안에 대한 해답을 제시하기도 한다.
나의 서평
로마제국의 제16대 황제인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가 본인의 사색을 담은 철학적 명상록이다. 첫 장을 넘기면 아우렐리우스가 자신의 가족, 친구 등 주변인들의 장점과 그들로부터 배우게 된 점에 감사하며 이 책은 시작된다. 그 사람의 참된 모습을 알아봐주고 본인의 한계마저도 감사할 줄 아는 모습에 절로 고개가 숙여진다. 감사할 일을 찾아낼 줄 안다는 것은 큰 축복이다. 우리는 작은 것부터 큰 것까지 감사를 지나치는 경우가 수없이 많다. 아우렐리우스는 황제의 자리에서도 신께, 가족들에게, 지인들에게 감사할 줄 알았다.
명상의 본질은 내 영혼과의 소통이며, 영혼과 소통된 자아와 우주와의 교감이다. 아우렐리우스는 자기 자신 깊은 곳까지 들어가 나를 제어하고 조절해 옳은 방향으로 가는 것에 대해 이야기한다. 삶과 죽음, 고통과 즐거움, 부와 가난 등 누구에게나 올 수 있고, 곧 사라지고 마는 것에 우리는 의미를 둔다. 애초부터 우리의 것이 아닌 것에 소유욕을 갖지 말고, 마음을 비워야한다. 육체적인 것은 모두 덧 없고, 영적인 것은 허망한 꿈과 같고, 우리를 이끌어주는 힘은 철학뿐이라는 견해가 흥미롭다. 인간은 신 앞에, 자연 앞에 얼마나 보잘것없고 작은 존재일 수밖에 없는지를 피력한 부분이 자주 등장해 아우렐리우스의 깊은 겸손을 느낄 수 있다.
“당신이 잃을 수 있는 것은 오직 당신이 영위하고 있는 이 순간의 삶 뿐이며, 당신이 소유할 수 있는 것 또한 당신이 잃고 있는 이 순간의 삶 뿐임을 명심해야 한다.”
오래전 쓰여진 책이라서 그런지 요즘의 자기 계발서와는 분명 다른 점이 있다. 표현이나 비유는 세련되지 못하고, 낡았을지 몰라도 내포된 메시지는 시대를 앞서가 읽는 이에게 신선함마저 안겨준다. 몇 천년을 존재해오던 책이 책의 홍수에 사는 현대인에게 참신함을 느끼게 하니 참 아이러니하다.
참 흥미로운 책이라는 생각이 든다. 서기 180년에 로마를 지배했던 머나먼 역사속의 인물이 쓴 책이다. 그저 그런 둥그스름한 도덕책쯤으로 생각했지만 또 다른 반전을 가져다준다. 왜 옛 성현들의 말에 귀 기울여야 하는지 알 것 같다. 2009년을 사는 현대인들에게 본질적인 메시지를 전하고 있는 이 책에는 주옥같은 글이 너무도 많다. 구입한지 좀 되었지만 이제야 읽게 되었는데 보석을 옆에 두고도 몰라본 내 꼴이 부끄럽다. 책은 늘 나에게 끊임없이 가르침을 준다. 이 책을 통해 조금이나마 삶의 긴장과 세상사와의 갈등으로부터 비켜설 수 있을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