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사람들은 한국의 역사를 제대로 알고 있는 것일까. 어느 나라나 역사해석의 오류나 사소한 왜곡은 존재하지만 우리나라만큼 한국사에 대한 논란이나 학계 대립이 첨예한 나라도 드물 것이다.
일제시대부터 이어져온 식민사관, 권력을 위해 역사마저 바꾸려했던 사대 부들, 또한 그것들을 무비판적으로 수용해버린 한국 사학계. 이 책은 그들의 주장을 하나씩 분석하며 검증해 왜곡으로 얼룩진 한국사를 바로잡는데 적극적으로 나섰다.
역사해석에 가장 중요한 것은 검증이다. 이 책은 옛 중국 고서의 풀이부터 글자 하나하나 그 의미를 파악하고 오류를 바로잡는데 노력한 흔적이 엿보인다. 그러다보니 해석하면 할수 록 퍼즐조각이 맞춰지듯 딱 맞아떨어지는 것을 볼 수 있어 통쾌한 반면 이런 해석을 외면하는 학계의 현실이 서글퍼지기까지 한다.
이 책이 중요한 이유는 잘못된 역사해석을 바로잡기에 앞서 현 한국사학계의 현주소를 독자들에게 알림으로써 한국사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킨다는데 있다. 요즘은 한국에 살아도 한국사는 먼 나라 이야기처럼 느끼는 사람들도 많다.
특히 젋은 세대들에게 어떠한 반향도 불러오지 못한 채 그저 ‘그들의’이야기로만 외면 받고는 한다. 그러다보니 사학계는 그 안에 서 ‘그들끼리’의 추악한 학문권력의 장이 되고만 것 같다. 이 책은 한국사학계가 학문주류라는 위치와 학문권력을 놓지 않기 위해 식민사학을 계승하고 있는 어이없는 현실을 낱낱이 고발한다. 그 때문에 오류를 인정하지 않고, 오히려 동북공정이나 식민사학을 지지하고 옹호하는 한국 주류 사학계와 한국사에 무관심했던 독자들까지 반성하게 한다.
이 책에 의하면 현재 한국사는 고조선 논란의 핵심 쟁점인 한사군의 위치비정, 삼국사기의 진위여부 등의 학설을 일제식민사학의 중심인 조선사편수회의 주장을 그대로 따르고 있다. 또한 조선후기와 일제강점기에 독립운동사 등은 나라를 팔아먹은 부류들인 노론의 사학관을 쫓고 있다. 오늘날 이 책처럼 잘못된 역사해석을 바로잡고, 한국사학계를 변화시키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지만 소수에 불과하며 주류사학계에서 외면당하고 있다. 한국사에 대 한 국민들의 관심이 절실한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다. 물론 역사가 왜곡되는 것이 가장 큰 문제이다. 하지만 역사를 바로 잡는 것 보다 더 선행되어야 하는 것은 학문권력을 놓지 않으려고 마음대로 한국사를 오리고 붙이는 한국사학계의 각성과 정화가 아닐까싶다.
그리고 앞으로 후손들이 올바른 역사인식을 갖고 동북공정이나 일제 식민사학에 맞서기 위해서는 한국사 바로잡기에 대한 국민들의 의지가 가장 중요할 것이다.
개인적으로 한국 사람이라면 한번쯤 꼭 읽어보았으면 하는 책이다. 국민들의 관심으로 오류를 바로잡고, 더 많은 열린 검증을 통해 한국사학계가 먼저 올바른 한국사관을 가져야 할 것이다. 그래야 중국의 동북공정이나 아직도 잔재하는 일제 식민사학에 당당히 맞설 수 있을 것이다
댓글